졸업생수
1992년도에 첫 졸업생 33명을 시작으로 2019년 현재까지 약 650명의 졸업생 배출
진로현황
환경공학은 학문적·산업적 응용 범위가 매우 넓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어 졸업 후 진로의 선택지가 풍부하다. 학계로는 대학 교수로서 연구와 교육에 기여하거나,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의 환경 관련 부서에서 공공 정책과 환경 관리를 담당할 수 있다. 또한,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공단, 한국수자원공사 등과 같은 공공기관 및 연구소에서 환경 연구와 기술 개발에 참여할 수 있다.
산업 분야에서는 화학, 환경, 안전 등의 영역에서 활동하며, GS칼텍스, LG화학, CJ제일제당, 대상과 같은 기업에서 환경 엔지니어, 기술 개발 전문가, 또는 환경 관리자로서 업무를 담당할 수 있다. 특히, 수질, 대기, 폐기물 관리 등 환경공학의 핵심 영역과 관련된 기사 자격증을 취득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개인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환경공학은 급변하는 환경 문제와 지속 가능성을 요구하는 현대 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개인의 진로는 사회적 기여와 전문성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
산업 분야에서는 화학, 환경, 안전 등의 영역에서 활동하며, GS칼텍스, LG화학, CJ제일제당, 대상과 같은 기업에서 환경 엔지니어, 기술 개발 전문가, 또는 환경 관리자로서 업무를 담당할 수 있다. 특히, 수질, 대기, 폐기물 관리 등 환경공학의 핵심 영역과 관련된 기사 자격증을 취득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개인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환경공학은 급변하는 환경 문제와 지속 가능성을 요구하는 현대 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개인의 진로는 사회적 기여와 전문성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
- 학 계 : 교수, 환경전문교사 등
- 공 무 원 : 정부부처 및 지방자치단체 등의 환경관련부처
- 연 구 소 : 국공립 및 민간기업체 등의 연구소
- 국영기업체 : 한국환경공단, 한국수자원공사, 국립환경과학원 등
- 민간기업체 : 삼성엔지니어링, GS칼텍스, LG화학, 한화케미칼 등 환경관련기업
- 기 타 : 국회환경전문 비서관, 환경전문기자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