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시스템공학과
환경공학(Environmental Technology, ET)은 IT, BT, NT와 함께 정부가 21세기 주요 성장산업으로 지정한 미래지향적 분야로,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주요 분야입니다. 환경시스템공학은 환경공학과 시스템공학이 융합된 학문으로, 환경, 산업, 그리고 사회적 요소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 기후변화 대응 및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해결책을 고안하고 구현하는 학문입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수질, 폐기물, 대기, 토양, 해양, 재생에너지, 생태독성, 소음, 진동 등으로 다양하며, 최근에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환경 모니터링과 데이터 분석 기술을 융합하여,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분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경정책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남지역은 여수국가산업단지, 광양제철소, 율촌산업단지 등 온실가스 배출과 에너지 소비가 높은 산업단지가 밀집되어 있어, 우리 학과에서는 이러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구온난화 문제 해결을 위한 온실가스 저감 기술, 탄소중립을 위한 화석연료 대체 신재생에너지 활용 방안, 그리고 인공지능 기반의 환경 데이터 분석 및 예측 모델 개발을 통해 환경공학 분야의 전문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환경공학은 기후변화 대응, 탄소중립 목표 실현, 신재생에너지 개발, 그리고 AI 기술 융합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설계하고 실현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학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취득가능 자격증
- 기술사: 수질관리, 대기관리, 폐기물처리, 소음진동, 자연환경관리, 토양환경, 상하수도
- 기사: 수질환경, 대기환경, 폐기물처리, 소음진동, 토양환경, 자연생태복원, 생물분류(동물), 생물분류(식물), 해양환경
- 산업기사: 수질환경, 대기환경, 폐기물처리, 소음진동, 자연생태복원, 산업위생관리
- 국가전문자격증: 정수시설 운영관리사 1·2·3급, 기술지도사